봄이 되면 진달래가 온 산을 덮는다는 평안도 영변 약산 동대에 진달래 놀음을 두고 생긴 민요이다. 소리 특성으로 봐서 소리꾼들의 소리임에 틀림 없다. 민요에서 흔히 보이는 입타령은 물론 뒷소리도 딸리지 않는 장절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그런지 명창들은 <영변가>을 <배따라기>와 함께 좌창에 넣기도 한다. 사설 내용을 보면 제1절에는 영변 약산을 들먹이나 제2절 이하는 약산과 관계가 없이 임 그리는 내용들이다. 세마치 장단에 수심가토리로 되어 꿋꿋하고 장중하고 처량한 느낌을 준다. 소리 가락이 좀 까다로워 쉬 배우기는 어렵다.
수많은 명창들이 <영변가>를 음반에 담았는데 김란홍이 부른 <영변가>는 감칠 맛이 있어 장중하다가 보다 매우 서정적이라 할 것이다. 역시 빅타관현악단이 반주하였는데 음색이 화려하다 하겠으나 서도민요의 향토적인 맛이 희석되었다고 하겠다.